명절 제사지방쓰는법 - 한지 규격 및 작성 예시 상세 안내
명절이 되면 많은 가정에서 조상님께 감사와 존경을 표하는 제사를 모시는데요 이때 제사지방을 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전통 중 하나입니다.
제사지방은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는 것으로 흰 종이에 정성스럽게 작성하여 차례상 중앙에 모시게 되는데요 제사지방 쓰는 법을 몰라 여기저기 찾아보시는 분들을 위해 제사지방 쓰는 법을 한지 규격부터 작성 예시, 조상별 지방 쓰는 법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제사지방 한지 규격
제사지방은 일반적으로 한지를 사용하며 특정 규격에 맞게 작성해야 되는데요 한지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로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기에 위한 규격입니다.
제사지방 작성 시 한지종이를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보통은 A4용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니 필요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사지방 작성 예시
제사지방을 작성할 때는 조상님의 신위를 정확히 표기해야 되는데요 예를 들어 아버지의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적습니다.
여기서 "현고"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하며, "학생부군"은 관직이 없을 경우 사용하는 호칭을 뜻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위"는 신령의 자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작성 예시
️️☑️ 아버지 :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 어머니 : 현비유인김씨신위 (顯妣孺人O(어머니 성)氏神位)
※ 어머니 성씨의 경우 "본관 성" 또는 "성"만 작성해 위패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현비유인"전주이"씨신위 (顯妣孺人"全州李"氏神位) > 顯妣孺人"李"氏神位
※ 한자는 네이버 "한자사전"을 통해 쉽게 검색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올려드린 첨부파일은 한글오피스로 작성되어 있으며 본인 PC에 한글오피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열리지 않습니다. 한글오피스 설치 관련 내용은 아래 해당 글을 참고해 주세요.
제사지방 쓰는 법 FAQ
제사 지방은 왜 쓰는 건가요?
현대에는 신주를 모시는 가정이 드물기 때문에 제사 때 지방을 써서 조상을 모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사 지방은 어떤 종이에 써야 하나요?
보통 폭 6cm, 길이 22cm 정도의 깨끗한 흰 종이(한지)를 사용합니다.
제사 지방은 무엇으로 써야 하나요?
붓과 먹을 준비합니다. 붓이 없다면 깨끗한 펜을 사용해도 됩니다.
제사 지방에는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하나요?
현(顯), 관계, 직위, 이름, 부군(府君) 또는 본관 및 성씨, 신위(神位)를 적습니다.
현(顯)은 무슨 뜻인가요?
나타날 현 자로 조상의 신위를 모신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모든 지방에 공통적으로 쓰입니다.
오늘은 제사지방 쓰는 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위패를 모실 때 굳이 한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본래 정석대로 한다면 한지 위에 글씨를 써야 되는 것이 맞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요즘은 프린팅해 제사 때 사용한다고 하니 각자의 상황에 맞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